목록2025/03/26 (3)
susinlee 님의 블로그

목표시계열의 핵심 모형 AR(자기회귀)와 이동평균(MA)에 대해서 이해시계열의 자기상관성을 측정하는 ACF와 PACF의 정의를 이해하고, AR(q)와 MA(p)의 차수를 찾는 방법을 숙지시계열 모델인 AR, MA, ARMA, ARIMA, SARIMA 모델을 학습시계열 예측평가를 위한 잔차분석과 성능지표를 학습1. 정상시계열 검정방법1. ADF 검정과 단위근(Unit root)시계열 데이터에서 정상성을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상성은 데이터의 평균과 분산이 시간에 따라 일정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시계열이 정상성을 만족하지 않으면, 예측 모델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AR 모형을 적용하기 전에, 시계열 데이터가 정상성을 만족하는지 검정 필요ADF(Augmented Dickey Fuller)는 단..

쿼리 작성 가이드현재 보고 싶은 지표는 무엇인가?, 이쿼리를 작성하는 목표는 무엇인가?해당 지표는 어덯게 계산해야 할까? 데이터의 기간은 어떻게 될까해당 지표를 계산하기 위해 어떤 테이블을 확인해야 할까? Join 활용할 Key는 무엇인가?하나의 테이블에서 원하는 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을까? 혹은 여러 테이블을 사용해야 할까데이터를 파악할 때 주의해야 하는 내용은?위 내용을 주석으로 설정한 후 쿼리 작성하는 습관 가지기회사에서 쿼리 작성하는 흐름쿼리 체크 리스트를 작성한다.보고 싶은 지표를 구체화한다사내에 이미 해당 지표를 구하는 쿼리가 있는지 찾아본다. 있으면 바로 쿼리를 실행하고 쿼리를 분석해보자보고 싶은 지표가 있는 데이터가 있는 테이블 찾기하나의 테이블에서 모든 데이터가 나올 것 같은 경우 -..
1.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2. 내가 시도해 본 것들 3. 어떻게 해결했는지 4. 뭘 새롭게 알았는지오늘 이력서 피드백을 받았는데 이력서를 쓸 때 너무 하드 스킬 위주로 적은 것 같다. 그보다는 남들과 차별성을 가지는 나의 장점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력서에 녹여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한다. 예를 들어, "저는 데이터를 깊이 파는 것을 잘하고, 그러면서도 속도가 빠릅니다" 처럼 이런 내용을 소개란에 적어야 한다. 그런 말들이야 누구나 쓸 수 있는거 아니야? 라고 생각이 들어 쓰지 않았었지만 그렇지 않다고 한다. 또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어려움이 존재했을 텐데 그런 어려움들을 어떻게 해결했는지를 적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해당 프로젝트에 관심이 가고, '아 얘가 정말 프로젝트를 했구나' 라는 생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