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inlee 님의 블로그
[250502] TIL 본문
비즈니스 용어 정리
전략/기획 관련 용어
PM (Project Manager / Product Manager) : 프로젝트 관리 책임자 / 제품 기획 및 운영 책임자
PO (Product Owner) : 에자일* 방식에서 제품의 우선 순위와 방향성을 결정하는 역할
에자일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짧은 주기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방식의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전통적인 폭포수 방식이 계획-분석-설계-구현-테스트-배포 단계를 선형적으로 진행하는 반면, 에자일은 반복과 점진적 접근을 핵심으로 함
→ 빨리 만들고, 자주 점검하고, 빠르게 개선하는 방식
OKR (Objectives and Key Results) : 목표와 핵심 결과 지표로 구성된 성과관리 방식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 : 조직/개임/프로젝트의 핵심 성과지표.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
ROI (Return on Investment) : 투자 대비 수익률. 마케팅/사업 평가에서 자주 사용됨
마케팅/고객 관리 관련 용어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고객 정보 관리 및 관계 유지 전략 시스템. 마케팅/세일즈 자동화에 많이 사용
VOC (Voice of Customer) : 고객의 의견, 불만, 요청 등을 수집하여 제품/서비스 개선에 반영하는 활동
LTV (Lifetime Value) : 고객 1인이 평생에 걸쳐 창출할 수 있는 수익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 고객 1명을 유치하는 데 들어간 평균 비용
NPS (Net Promoter Score) : 고객 충성도를 측정하는 지표. "이 제품/서비스를 추천할 의향이 있습니까?"를 기반으로 측정
운영/개발 관련 용어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회계, 생산, 인사 등 기업 자원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SCM (Supply Chain Management) : 공급망 전반의 흐름 (제조, 유통, 재고 등)을 관리하는 시스템
QA (Quality Assurance) : 제품/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테스트 및 검증 활동
CS (Customer Service) : 고객 문의 대응 및 문제 해결을 담당하는 부서 또는 활동
기타 실무/조직 용어
B2B / B2C : 기업간 거래 / 기업과 개인 간 거래를 의미
UX / UI : 사용자 경험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품 디자인과 밀접한 개념
COO / CTO / CMO (Chief Operating/Technology/Marketing Office) : 운영/기술/마케팅 최고 책임자
SOP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 표준 운영 절차. 반복 업무를 문서화한 메뉴얼
바로인턴 최종합격 여부 발표날이다. 사실 오늘인지 내일인지 그리고 몇시인지는 정확하게 모르고 있었고, 이미 매칭된 수강생들에게는 연락이 간 상태였어서 불합격이겠거니 했지만 마음 한구석에서는 약간의 기대를 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집에서 공부하고 있는데 메시지가 왔고, 오늘이 발표날이라는 걸 알았다.
결과는 불합격이었다. 최근 힘든 일들이 있어서 우울했다가 겨우 극복해냈거늘 또다시 시련을 ㅠ.. 까진 아니구 사실 앞서 말했듯이 어느정도 예상은 했기에 살짝 섭섭한 정도고 운이 좀 안좋네 싶었다. 기분 전환겸 카페 들려서 국민취업제도나 근로장려금을 알아보는 와중 전화가 왔다.
스파르타 매니저분께서 TO가 하나 생겨서 매칭이 됐다고 해서 근무조건을 확인해보시고 원하시면 말씀하시라 연락을 주셨다. 그래서 근무조건은 일단 제가 나중에 확인해볼테니 무조건 하겠다고 말씀드렸다. 그러고 나서 얼마 후 기업 측에서 연락이 왔고, '근무 전 한번 직접 뵙고 인터뷰를 해보고 싶다. 혹시 오늘 올 수 있냐' 고 물으셨다. 갑작스러웠지만 가겠다구 하구 잠깐 집에 들렸다가 출발했다.
옥수역에 있는 필라테스/헬스/ 회사였다. 이사님이랑 대표님 그리고 연락주신 분과 인사를 나눴다. 그런 다음 사진 속 테이블에 앉아 인터뷰를 진행했고 다음과 같은 질문을 받았다.
Q. "데이터 분석가가 뭐하는 직업이에요? 뭘 할 수 있나요?"
질문을 받았을 때 머릿 속에 갈고리 핑이 찍혔다ㅋㅋ.. 데이터 분석은 물건너간거 같기도 하고... 아무튼 답변을 했다.
A. 아 ... 네...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정의하고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을 제시하는 게 주요 업무구요... 어플 디자인 개선안 같은 게 나왔을 때 기존 것보다 개선안이 더 반응이 좋은지 통계적으로 검정하는 일들도 가능합니다.
당황해서 말을 잘 하지는 못했다. 더 어버버했고 기억도 잘나진 않지만 비슷하게 답변한 것 같다. 일 적인 얘기들도 나누었다. 최근 신규 앱을 런칭했고, 관련해서 기획 쪽 일을 하게 될 거라고 말씀하셨다. 아마 데이터 분석가로 일하는 것보다는 기획 쪽 일을 맡게 되지 않을까 싶다. 바로인턴 데이터 분석 채용공고에 없던 기업이었고, 스파르타 측에서 수강생들을 매칭시켜야 하니 해당 기업과 어떻게 조율을 했고 그결과 데이터 분석 쪽에서 사람을 뽑게 된 것 같았다(뇌피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도 했다.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어플은 어떤 건지, 유사 어플들은 뭐가 있는지에 대해서 여쭤봤고 관련해서 어플 계정이랑 기타 정보들을 보내주신다고 하셨다. 비밀유지서약서를 작성했고 카톡으로 주신다는 데 아직 받지는 못했다. 일단 어플 이름을 먼저 알려주셔서 검색해봤는데 다운로드 횟수가 100이었다. 아무래도 파이썬은 커녕 SQL도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아무튼 관련 정보를 받게되면 주말 동안에 조금 둘러보고 기획 쪽으로도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갑자기 비즈니스 용어를 정리하게 된 것도 그 일환 중 하나다. 책도 한 권 샀는데 빠르게 읽어보자.
'학습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0503] TIL (2) | 2025.05.04 |
---|---|
[250428] TIL (0) | 2025.04.29 |
[250427] TIL (0) | 2025.04.28 |
[250424] TIL (0) | 2025.04.25 |
[250420] TIL (2) | 2025.04.21 |